캠페인 소식

Greenpeace Korea | 그린피스

참여하기

보도자료 일반
3분

[그린피스 보도자료] 삼성전자, 2030년 RE100 달성하면 15조 원 아낀다… 재생에너지 전력수급에 글로벌 경쟁력 달려

글: 그린피스
  • 그린피스, 동아시아 13개 테크 기업의 2030년 RE100 비용 편익 효과 분석
  • 13개 기업, 2030년까지 RE100 달성 시 온실가스 네덜란드 연간 총 배출량보다 더 많이 감축하고 약 25조 원 비용 절감 가능해
  • 환경적·경제적 편익 가장 큰 기업은 삼성전자,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 3배 넘게 줄일 수 있어 
  • AI 열풍 속 국내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위해 재생에너지 전환 필요
  • 그린피스 “삼성전자 입주할 용인 국가산단, 재생에너지 중심 ‘탄소중립’ 반도체 클러스터로 조성해야”

2024.06.13._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빅테크 기업이 전력을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경우 환경적·경제적 편익이 상당할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13일 동아시아 최대 테크 기업인 삼성전자, TSMC,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13개 기업이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채택 시 편익이 어떻게 될지 예측한 보고서 [테크기업 파워게임 : 동아시아 전자산업 공급망의 재생에너지 채택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을 발표했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 기업 중 삼성전자의 환경적· 경제적 편익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가 2030년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달성할 경우 감축하게 되는 온실가스는 1억 6196만 톤으로, 이는 2021년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4,594만 톤)의 3배를 넘는다. 또한 삼성전자가 2030년 한 해에 절감할 수 있는 비용은  124억 4500만 달러(한화 15조 7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 13개 기업 모두 2030년 100% 재생에너지 전력을 사용할 경우 2022년 네덜란드 연간 온실가스 총 배출량(1억 6785만 톤)보다 큰 규모의 감축을 달성할 수 있으며, 201억 2000만 달러(25조 4116억 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테크 기업들이 지구 평균기온 1.5도 상승을 막기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이 환경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얼마나 큰 이익을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해 경제성 평가의 한 방법인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CBA) 기법을 사용하였다. 

재생에너지는 가장 경제적인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 세계 많은 전문 기관들은 탄소 배출권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탄소 감축을 위한 규제 압박 역시 거세지는 추세다. 

연구에 따르면, 분석 대상 13개 기업이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달성할 경우, 각 사는 적게는 8,742만 달러(한화 1,104억 원), 많게는 124억 4500만 달러(한화 15조 7000억 원)의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이러한 경제적 효과는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는 화석연료 사용을 중단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줄이고, 탄소세 등의 잠재적인 환경 비용을 절감하는 데서 비롯됐다.

한편,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이번 연구 대상에 포함된 다른 한국 기업 3곳의 경제적 편익 역시 큰 것으로 드러났다. SK 하이닉스는 18억 3327만 달러(한화 2조 3154억 원)로, 13개 기업 중 두 번째로 높다. 그 뒤를 이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각각 14억 9186만 달러(한화 1조 8842억 원), 13억 2143만 달러(한화 1조 6689억 원)로 높게 예측되었다.

이번 연구의 저자인 리앙 동 홍콩 시립대학교 에너지환경학부 박사는 “연구 결과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것은 기업에게 비용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통념이 사실이 아님을 밝혀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탄소세 도입, 화석 연료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화석 연료 사용의 대가가 점점 더 커지는 가운데,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에 성공하는 제조업체는 온실가스 감축으로 인한 기후대응 및 비용 절감을 통해 실질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5월 31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을 발표하면서 데이터센터, 반도체 공장 건립 등 추가 전력수요에 대응을 위해 LNG와 원전 위주의 신규 발전소 건립 계획을 밝혔다. 이에 앞서, 2023년 12월에 열린 제4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는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의 전력 공급을 위해 LNG 발전소 6기 건설 계획을 공식화한 바 있다. 이 국가산단에는 삼성전자가 입주할 예정이다.

양연호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삼성전자가 LNG와 같은 화석연료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재생에너지 전환에 따른 기회비용 수십조 원을 모두 포기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SMC가 계획대로 2040년 RE100을 달성한다면, 삼성전자는 용인 국가산단 가동 시점부터 이미 TSMC와의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이라면서 “한국 정부는 용인 국가산단 내 LNG 발전소 건설 계획을 취소하고 삼성전자와 함께 재생에너지 중심의 ‘탄소중립’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요구했다.  

양 캠페이너는 "정부는 송배전망 혼잡이 극대화되고 있는 수도권에 굳이 대형 전력 수요처인 반도체 공장 건설을 강행하여 결국 LNG와 원전 신규 건설이란 구시대적 카드를 꺼내 들고 말았다. 시급한 건 국가와 기업의 기후 경쟁력 개선이다. 재생에너지 전력수급을 목표로 정부는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와 함께 계통운영 및 전력망 이슈 해결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 기업 역시 RE100 달성을 위한 선제적 투자를 더는 미뤄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린피스는 2017년부터 정부와 국내 테크 기업들을 상대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그린피스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탄소중립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연구를 진행 중에 있으며 올해 하반기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보고서 전문은 이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